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마케팅6

🔍 데이터 기반 마케터·기획자라면 꼭 알아야 할 실무 용어 & 개념 ✅ 1. KPI (핵심성과지표)❗기획자는 '캠페인 목표'를, 분석 마케터는 '성과를 측정할 지표'로 KPI를 본다.🎯 예: 전환율(CVR), 평균 구매액(AOV), 고객 획득 비용(CAC)✅ 2. LTV (고객 생애 가치, Life Time Value)💡 한 명의 고객이 우리 브랜드에 가져다 줄 총 수익 추정치예: LTV > CAC (고객 획득 비용) → 이 마케팅은 ‘건강한 투자’✅ 3.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획득 비용)📊 한 명의 고객을 유입시키는 데 든 평균 비용계산: 마케팅 비용 ÷ 획득한 고객 수✅ 4. 퍼널 분석 (Funnel Analysis)고객 행동 흐름을 시각화하고, 어디서 이탈했는지 분석하는 기법예: 광고 클릭 → 상세페이지 → 장바구니 담.. 2025. 4. 21.
📌 데이터 기반 소비자 조사, 어떻게 해야 실무에 유용할까? “감이 아닌, 수치와 근거로 소비자를 이해하자”기획이나 마케팅에서 소비자 인사이트를 얻는 건 필수지만, 아직도 많은 팀이 직관이나 ‘감’에 의존하곤 한다. 하지만 데이터는 그 ‘감’을 검증하거나 방향성을 구체화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도구다.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소비자 조사 방법을 구조적으로 정리해본다.1️⃣ 소비자 조사의 목적과 유형✔ 정성조사 (Qualitative Research)인터뷰: 소수의 소비자에게 직접 질문하며 행동 이유, 심리, 배경 등을 깊이 파악포커스 그룹: 유사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한데 모아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듣는 방식📌 활용 상황: 새로운 제품 출시 전, 컨셉 테스트 시, 초기 타깃 탐색 등✔ 정량조사 (Quantitative Res.. 2025. 4. 20.
🔄 데이터 기반 마케팅, 협업 구조부터 다르다 기획자, 분석가, 디자이너, 개발자… 우리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만난다좋은 마케팅은 감각만으로는 되지 않는다.이제 마케팅은 데이터를 ‘읽고, 해석하고, 활용하는’ 전방위 협업의 결과물이다.특히 데이터 기반 마케팅을 실현하는 조직은 협업 구조 자체가 다르다.1️⃣ 협업은 ‘기획자’로부터 시작된다마케팅 아이디어는 기획자에게서 출발하지만,데이터에 기반하지 않은 아이디어는 방향을 잃기 쉽다.🎯 기획자가 하는 일캠페인 목표 설정 (ex. 전환율 향상, 신규 유입 확대)KPI를 데이터 기반으로 설계 (ex. CTR 3% 이상, ROAS 500% 목표)실험 설계 방향 수립 (ex. A/B 테스트 조건 구상)📍 협업 포인트분석가와 함께 과거 유사 캠페인 성과 리포트 검토목표 수치를 현실 가능한 수치로 조율실험 대상 .. 2025. 4. 16.
🔍 데이터로 보는 소비자 행동 예시 중심 — 숫자 뒤에 숨겨진 진짜 이유를 찾아서우리는 흔히 ‘왜 소비자들이 그 제품을 샀을까?’라고 묻는다.하지만 그 질문에 답을 주는 건 소비자의 말이 아니라, 소비자의 ‘행동’이다.검색, 클릭, 구매, 리뷰, 이탈…이 모든 흔적은 소비자가 진짜 원하는 것을 말해주는 데이터다.이번 글에선 데이터로 소비자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법을실제 분석 예시 중심으로 정리해본다.1️⃣ 검색 데이터로 알아보는 ‘진짜 고민’예시:"다이어트 쉐이크"를 검색하는 사람들, 진짜 원하는 건 뭘까?📊 네이버 키워드 도구에서 ‘다이어트 쉐이크’ 연관 검색어를 보면→ ‘단백질 함량’, ‘공복대용’, ‘배부른 쉐이크’ 같은 키워드가 눈에 띈다.✅ 인사이트단순한 체중 감량 목적이 아닌,공복을 잘 채우는 포만감 중심의 제품에 대한 니즈가 강함.. 2025. 4. 15.
🔍 데이터로 보는 소비자 인사이트 찾기 — 요즘 사람들은 왜 그렇게 소비할까?감에 의존하던 시대는 지났다.이제는 데이터를 통해 사람들의 소비 심리를 읽고,그 안에서 마케팅 전략의 단서를 찾아야 한다.소셜미디어, 검색 데이터, 리뷰, 커뮤니티 글 등사람들이 남긴 수많은 디지털 흔적 속에는진짜 소비자 인사이트가 숨어 있다.1️⃣ 요즘 소비자, ‘의미’를 소비한다✨ 트렌드 키워드: 미닝아웃(Meaning-out)제품을 고를 때 단순히 가격이나 품질만 보지 않는다.‘내가 소비하는 것이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는지’ 중요하게 여긴다.📌 사례친환경 브랜드의 구매율이 증가정치/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브랜드 캠페인에 높은 호응📊 소셜 데이터로 본 미닝아웃트위터/인스타그램에서 “가치소비”, “윤리적소비”, “지속가능” 키워드가 최근 1년간 70% 이상 증가2.. 2025. 4. 15.
📊 캠페인 성과 분석, 이젠 감이 아닌 근거로 판단하자 – 클릭률, 전환율, 대시보드로 보는 진짜 성과마케팅 캠페인을 집행했는데 "잘 된 건지 아닌지 모르겠다"는 이야기는 흔하게 들린다.노출 수는 많은데 전환이 없거나, 광고비 대비 성과가 애매하다는 피드백이 반복되기도 한다.이럴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이다.성과 판단의 기준이 ‘감’이 아니라 ‘근거’가 되어야 한다.그 출발점은 지표 해석과 데이터 기반 추적이다.✅ 1. 광고 지표, 헷갈리면 안 되는 기본 개념캠페인 성과 분석은 결국 수치를 해석하는 일이다.하지만 수치만 봐선 아무것도 알 수 없고, 의미를 읽을 줄 알아야 방향을 잡을 수 있다.▪ CTR (Click Through Rate) – 클릭률광고를 본 사람 중 몇 %가 실제 클릭했는지를 의미한다.CTR이 높다는 건 소재가 .. 2025.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