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gle Analytics

GA4 vs UA 실제 사례 비교 분석: 보고서 차이점 완전 정복

by everything1111 2025. 4. 22.

GA4 vs UA 실제 사례 비교 분석: 보고서 차이점 완전 정복

"GA4랑 UA 숫자가 왜 이렇게 다르죠?" 실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 오늘 확실히 정리해 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저는 웹사이트 운영하면서 Google Analytics 데이터를 매일 확인하는 사람입니다. 근데 GA4로 넘어오면서 생긴 혼란... 다들 겪고 계시죠? 저도 UA랑 GA4를 동시에 보고 있는데, 같은 날 같은 웹사이트인데도 숫자가 너무 달라서 처음엔 멘붕이었어요. 😵 이 글에서는 제가 실제 운영 중인 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UA와 GA4의 차이점을 찐하게 비교해보려 합니다. 단순 기능 차이 말고, 보고서 해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궁금하셨다면 딱이에요!

왜 GA4로 바뀌었을까?

UA는 2005년에 만들어진 구글 애널리틱스의 고전 버전이에요. 당시엔 웹사이트만 분석하면 됐지만, 이제는 앱, 웹,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까지 분석해야 하죠. GA4는 이런 멀티 플랫폼 환경에 최적화된 이벤트 기반 모델이에요. 쿠키 제한, 개인정보 보호 이슈도 반영해서 등장한 ‘미래형 분석툴’인 셈이죠.

실제 데이터 비교: GA4 vs UA

같은 날, 같은 웹사이트의 데이터입니다. GA4와 UA가 보여주는 지표 차이가 꽤 크죠? 아래 표를 한번 보세요.

지표 항목 UA 데이터 GA4 데이터
사용자 수 1,240 1,150
세션 수 1,520 1,630
이탈률 48% (제공 안 함 - 참여세션으로 대체)

보고서 해석 방식의 변화

UA에서는 ‘페이지뷰’, ‘이탈률’, ‘세션’ 중심으로 해석했죠. GA4는 이벤트 흐름을 통해 행동을 파악합니다. 예전에는 이탈률이 60%면 불안했는데, GA4에선 ‘참여 세션 비율’이 높다면 큰 문제 아닐 수도 있어요. 해석의 기준 자체가 달라진 거죠.

  • GA4는 이벤트 중심이라, ‘어떤 행동이 있었는지’ 추적이 훨씬 풍부함
  • 반면, 단순한 수치 비교엔 여전히 UA가 직관적일 수 있음

핵심 지표 비교표

GA4와 UA의 대표 지표들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표로 정리해봤어요. 이름은 비슷해도, 수집 방식과 의미가 꽤 달라요.

지표명 UA에서의 의미 GA4에서의 의미
사용자 수 총 사용자 (new+returning) 활성 사용자 기준 (최근 28일 행동 포함)
이탈률 1페이지 조회 후 떠난 비율 없음 → 대신 '참여세션 비율' 제공
페이지뷰 단순 페이지 로딩 수 page_view 이벤트 수로 집계
전환 목표(Goal) 달성 기준 이벤트 지정 기반 전환 (conversion)

실무 적용 사례로 본 두 시스템의 활용 차이

한 쇼핑몰 사례를 들자면, UA에서는 이탈률이 높은 특정 랜딩페이지를 문제 페이지로 봤어요. 그런데 GA4에서는 해당 페이지가 짧지만 강한 행동 유도가 있었던 걸 확인하고, 이탈이 아닌 '전환 직전 페이지'로 해석하게 되더라고요.

  • UA: 페이지뷰 기반 지표 → 컨텐츠별 성과 파악 쉬움
  • GA4: 사용자 행동 흐름 중심 → 여정 분석 및 퍼널에 유리
Q GA4와 UA의 사용자 수가 왜 다르게 나오나요?

GA4는 '활성 사용자' 기준으로 집계해서, 브라우저 쿠키 삭제나 장치 변경 등이 반영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요.

Q UA에서 보던 이탈률 지표는 GA4엔 없나요?

네, GA4는 '참여 세션 비율'로 대체되었고, 이탈률은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Q GA4 전환 이벤트는 직접 설정해야 하나요?

맞아요! 원하는 이벤트를 '전환'으로 체크해서 직접 설정해줘야 GA4가 전환으로 인식합니다.

Q UA보다 GA4가 무조건 좋은가요?

기능은 확실히 진보했지만, 직관적인 리포팅은 UA가 더 쉬워요. 목적에 따라 병행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Q 두 시스템의 보고서 수치는 얼마나 다를 수 있나요?

10~30% 정도 차이 나는 경우도 흔해요. 수집 기준과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Q 보고서 기준은 어느 쪽에 맞춰야 하나요?

앞으로는 GA4가 공식 기준이에요. UA는 곧 종료되니 GA4 중심으로 보고 체계를 잡는 게 좋습니다.

GA4와 UA는 단순히 버전이 다른 게 아니라, 분석 철학 자체가 달라요. 페이지 중심 분석에서 사용자 중심 분석으로 패러다임이 바뀐 거죠. 보고서 수치가 다르다고 놀라지 마세요. 각 시스템의 구조와 수집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제 경험상, 지금은 두 시스템을 병행하면서 GA4에 점점 익숙해지는 게 가장 현실적인 전략이에요. 시간이 지나면 UA는 완전히 종료되니까요. 지금 이 시점이 GA4를 익히기에 딱 좋은 타이밍이라는 거, 잊지 마세요!

GA4, UA, 구글애널리틱스비교, GA4이해하기, 실무데이터분석, GA4활용법, 전환분석, 이벤트분석, 사용자행동, 보고서비교